728x90
## PUBLIC 환경에서 배포한 VM의 사이즈 변경이 필요 할 경우 VM의 TEMPLATE을 바꾸어 줘야 한다.
관리클러스터로 Context를 변경

배포된 VM의 Template 확인, 만약 AWS면 k get awsmachinetemplates 이라고 하면 된다.

변경하고자 하는 Template 확인
kubectl edit azuremachinetemplates azr-sectkg-md-2
현재 Standard_D2s_v3로 배포 되어 있는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
Azure에서 해당 VM에서도 D2s v3인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
## yaml파일로 떨군다.
kubectl get azuremachinetemplates azr-sectkg-md-2 -o yaml > azr-sectkg-md-2.yaml
Name 및 원하는 vmSize로 변경한다.

## 실행
kubectl apply -f azr-sectkg-md-2.yaml

### 변경할 machin을 확인 후 edit 한다.
kubectl get machinedeployment
### EDIT
kubectl edit machinedeployment azr-sectkg-md-2

그리고 생성한 template으로 이름을 변경 한다.

그러면 아래와 같이 REPLICAS가 2로 늘어나며

AZURE에서 md-2-new라는 VM이 생성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
그리고 사이즈가 변경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음

완료가 되면 아래와 같이 REPLCAS가 1로 변경 되며

완료가 되면 아래와 같이 VM도 정리가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
VM의 사이즈 변경 및 워커 노드의 대한 VM 사이즈의 대한 혼합 구성을 할 수 있다.

반응형
'VMware > TANZU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DK)WSL 에서 TCE Extension 설치 하기 (0) | 2021.12.18 |
---|---|
(DK)WSL에서 TCE(Tanzu Communty Edition) Install (0) | 2021.12.18 |
(DK) TANZU HARBOR EXTENTION에서 OCI Registry 및 KUBEAPPS 연동 (0) | 2021.08.25 |
(DK) tkg 용어정리 (0) | 2021.08.16 |
(DK) TANZU AWS DYNAMIC EFS 연동 (0) | 2021.08.13 |